심리검사 소개
1. CPAT (Comprehensive Parenting Attitude Test, 부모양육태도검사)
1) 기본 개요
개발 목적: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보이는 일관된 태도와 신념을 측정
대상: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부모
형식: 자기보고식 검사
특징: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 가능
2) 검사 구성
문항 수: 약 60~80문항 내외 (버전에 따라 다름)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소요 시간: 약 15분
3) 활용 분야
상담: 부모상담, 부모교육, 가족상담에서 부모의 양육 태도를 진단
교육: 부모 훈련 프로그램 기초 자료
임상: 아동·청소년 문제행동의 배경 이해
연구: 양육태도와 아동 발달(정서·행동·사회성) 간의 관계 검증
4) 장점과 한계
장점:
부모의 태도를 여러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측정
부모 자기성찰 및 상담 장면에서 변화 동기 촉진
임상·교육·연구 등 다방면에 활용 가능
2. CST (Character Strengths Test, 성격강점검사)
1) 기본 개요
이론적 배경: Seligman & Peterson(2004)의 VIA 성격강점 이론 기반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에서 제안한 24가지 성격강점을 측정
목적: 개인의 타고난 성격적 자원과 강점을 발견하고, 삶·학업·직업·관계에서 긍정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검사
대상: 청소년 ~ 성인
2) 검사 구성
문항 수: 약 120문항 내외 (버전에 따라 다름)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소요 시간: 약 15~20분
3) 활용 분야
상담/코칭: 자기이해, 자기수용, 회복탄력성 강화
교육: 학생들의 학습 동기, 자기효능감, 긍정적 학급 분위기 조성
조직/기업: 리더십 개발, 팀워크, 직무 몰입 향상
가정/부부/부모교육: 가족 구성원 이해, 긍정적 상호작용 촉진
4) 장점
병리적 관점이 아니라 강점 중심 접근 → 긍정적 상담 및 교육에 적합
개인의 잠재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 제시
행복·웰빙과 높은 상관성
3. IESS 통합스트레스검사(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Scale)
1) 기본 개요
개발 목적: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하여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영역을 통합적으로 이해
특징: 단순히 스트레스 정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의 원인·반응·대처 수준을 함께 측정하는 한국형 심리검사
대상: 청소년 ~ 성인
2) 검사 구성
문항 수: 약 100문항 내외 (버전에 따라 차이 있음)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소요 시간: 약 20분
3) 활용 분야
상담 및 임상: 개인의 스트레스 상태 및 취약 요인 파악 → 상담 목표 설정
교육: 청소년·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기업/조직: 직무 스트레스, 번아웃 예방, 조직 건강성 평가
연구: 스트레스, 정신건강, 회복탄력성 연구
4) 장점
스트레스의 원인–반응–대처 과정을 통합적으로 측정
개인의 구체적 스트레스 양상 파악 가능
상담·코칭·교육 등 다양한 현장에 활용 가능
4. K-BAI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한국판 벡 불안척도)
1) 기본 개요
원개발자: Aaron T. Beck (1988년, Beck Anxiety Inventory: BAI)
한국판: 국내 표준화 과정을 거쳐 제작된 불안 평가 도구 → K-BAI
목적: 개인이 경험하는 불안 증상(특히 신체·인지적 불안) 의 정도를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
대상: 청소년 이상 성인
2) 측정 영역
BAI는 불안을 주로 신체적·생리적 불안 증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신체적 증상: 어지럼증, 심장 두근거림, 숨 가쁨, 손발 떨림, 땀 흘림 등
인지적 증상: 긴장감, 공포, 통제 불가감, 불안한 예감 등
3) 활용 분야
임상 장면: 불안장애, 공황장애, 신체화 증상 평가 및 치료 효과 측정
상담/교육: 학생, 직장인 등 특정 집단의 불안 수준 선별
연구: 불안 관련 연구에서 표준화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활용
4)장점
불안의 신체적·인지적 증상을 구체적으로 다룸
짧고 간단, 임상/비임상 모두 활용 가능
치료 전후 불안 정도 변화 추적에 효과적
5. K-BDI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벡 우울척도)
1) 기본 개요
원개발자: Aaron T. Beck (1961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한국판: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표준화한 우울증 평가 도구 → K-BDI
목적: 개인의 우울 수준을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
대상: 청소년 ~ 성인
2) 검사 구성
문항 수: 21문항
응답 방식: 0~3점의 4점 척도 (증상 심각도에 따라 선택)
소요 시간: 약 5~10분
3) 활용 분야
임상 장면: 우울증 진단 보조, 치료 전·후 효과 측정
상담/교육: 청소년·대학생·성인 집단의 정서 상태 파악
연구: 우울 관련 연구에서 표준화된 자기보고 도구로 활용
4)장점
짧고 간단하며 신뢰도·타당도 검증됨
자기보고식이라 집단검사에도 적합
치료 효과의 변화 추적에 유용
6. K-MSI (Korean version of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
1. 기본 개요
한국판 표준화: 한국 문화와 부부 관계 특성을 반영하여 표준화 (K-MSI)
목적: 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관계 전반의 적응 수준을 다차원적으로 평가
대상: 결혼한 성인 (부부가 함께 검사하는 것이 이상적)
2. 검사 구성
문항 수: 약 150문항 내외 (한국판은 보통 13개 하위척도 구성)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소요 시간: 30~40분
3) 활용 분야
부부상담 및 가족상담: 결혼생활의 문제 영역 진단, 치료계획 수립
사전·사후 평가: 부부상담 프로그램, 교육 개입 효과 측정
연구: 결혼 만족도, 가족 적응, 부부갈등 연구
교육: 예비부부 교육, 결혼생활 적응 훈련
4) 장점
결혼만족도를 다차원적으로 세밀하게 측정
한국 문화와 가족 구조에 맞게 표준화되어 실제 상담 현장에 적합
배우자 각각의 응답을 비교하여 관계 패턴 분석 가능
7.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1) 기본 개요
개발자: Isabel Briggs Myers & Katharine Cook Briggs (1940년대)
이론적 배경: Carl Gustav Jung의 심리 유형론 (Psychological Types, 1921)
목적: 개인의 성격 선호경향을 파악하여 자기이해, 대인관계, 진로 선택 등에 도움을 주는 성격 유형 검사
형식: 자기보고식 질문지
산출 결과: 16가지 성격 유형
2) 활용 분야
진로 및 직업 상담: 개인의 적성·흥미와 직업 환경의 적합성 파악
교육: 학습 스타일 이해, 교사–학생 관계 개선
조직/기업: 팀워크, 리더십 개발, 커뮤니케이션 향상
상담 및 자기이해: 대인관계, 가족관계, 자기성장
3) 장점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
자기이해, 타인이해, 관계 개선에 유용
교육·기업·상담 등 폭넓게 활용
8. MMPI-2(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1) 기본 개요
개발자: Hathaway & McKinley (1940년대), 이후 개정판이 여러 차례 나옴
MMPI-2: 1989년 표준화 (미국에서), 현재까지 임상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
목적: 개인의 성격 구조, 정신병리,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평가
2) 검사 구성
문항 수: 567문항 (True/False 형식)
소요 시간: 약 60~90분
대상: 만 18세 이상 성인
3) 활용 분야
임상 진단 (우울증, 불안, 성격장애, 정신병적 장애 등)
심리상담 및 치료 계획 수립
법정 평가(범죄자 심리, 양육권, 손해배상 관련 평가 등)
군인·경찰 등 특수 직군 선발
4) 장점
장점: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심리검사
방대한 연구와 신뢰도·타당도 검증
9. MMPI-A(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Adolescent)
1) 기본 개요
개발 배경: 기존 성인용 MMPI-2를 14~18세 청소년에게 직접 적용하기에는 발달적·언어적 차이가 있어, 청소년 표준화 집단을 바탕으로 개발됨.
출시: 1992년 Butcher 등이 개발
목적: 청소년의 성격, 정서적 어려움, 행동 문제 및 정신병리적 특성을 평가
2) 검사 구성
문항 수: 478문항 (True/False 형식)
소요 시간: 약 60~90분
대상: 만 14~18세 청소년
3) 활용 분야
임상 평가: 청소년 우울, 불안, 충동조절, 품행 문제, 자살 위험 평가
상담 장면: 학교 적응 문제, 대인관계 갈등, 정서·행동 문제 파악
법정·보호관찰: 비행 청소년의 성격 및 행동 특성 파악
치료 계획: 개인상담·집단상담의 기초 자료
4) 장점
청소년 특성(발달 수준, 학교·가족 문제 등)을 반영
다양한 영역(학교·가정·또래·정서)을 종합적으로 평가 가능
10. PCT( Parenting Characteristics Test, 부모양육특성검사)
1) 기본 개요
개발 목적: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나타나는 양육태도와 특성을 평가하여, 부모-자녀 관계 및 발달 과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됨
대상: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 (어머니·아버지 모두 가능)
형식: 자기보고식 검사
2) 검사 구성
문항 수: 약 60문항 내외 (검사 도구 버전에 따라 차이 있음)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예: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소요 시간: 약 15분
3) 활용 분야
상담 및 교육: 부모상담, 부모-자녀 관계 개선 프로그램
임상 장면: 아동·청소년 문제행동의 배경 이해
연구: 양육태도와 자녀 발달(정서·행동·학습·사회성)의 관련성 검증
부모교육: 올바른 양육 태도 습득, 자기성찰 도구로 활용
4) 장점
부모 양육태도를 구체적 하위 요인별로 파악 가능
상담 장면에서 부모의 자기이해와 변화 동기 유발에 효과적
교육 현장, 임상, 연구에 폭넓게 활용
11. SRI (Stress Resilience Inventory, 스트레스 탄력성 척도)
1) 기본 개요
개발: 한국에서 Kim & Lee(2004) 등이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여 개발
목적: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얼마나 잘 회복하고 적응하는지(회복탄력성) 를 평가
특징: 한국인의 사회·정서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척도
2) 검사 구성
문항 수: 총 28문항 (Likert 5점 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소요 시간: 약 10분 내외
대상: 청소년 ~ 성인
3) 활용 분야
상담 및 임상: 개인의 회복탄력성 수준 파악 → 우울·불안·스트레스 대처 훈련에 활용
교육: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관리, 정서 회복력 증진 프로그램 기초
조직/기업: 직무 스트레스 관리, 리더십·팀워크 교육
연구: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 웰빙,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관련성 검증
4) 장점
한국 문화에 맞게 개발되어 국내 적합성 높음
회복탄력성의 3대 핵심 요인(통제·도전·헌신)을 균형 있게 측정
상담·코칭·교육 등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 가능
12. TCI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기질 및 성격 검사)
1) 기본 개요
개발자: C. Robert Cloninger (1990s)
목적: 성격을 기질(temperament) 과 성격(character) 차원으로 나누어 평가
이론적 배경: 생물학적 성격 이론에 기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된 기질, 사회적 학습·성숙과 관련된 성격)
문항 수: 보통 240문항, 축약형 140문항도 있음
응답 방식: Likert 5점 척도 (전혀 아니다 ~ 매우 그렇다)
2) 특징
성격을 단순히 "정상/비정상"으로 구분하지 않고, 성격 발달 수준과 기질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평가
정신의학, 임상심리, 상담, 긍정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성격장애, 우울·불안 장애 환자, 중독 문제 등을 이해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
3) 활용 분야
임상심리/정신의학: 우울, 불안, 충동조절 문제, 성격장애 이해
상담/코칭: 자기이해, 대인관계, 직업적 성향 파악
연구: 성격 발달, 종교·영성, 행복 연구 등
4) 장점
성격을 생물학적 기반(기질) + 사회적/가치 기반(성격)으로 종합적으로 설명
다양한 임상·비임상 영역에서 활용 가능
13. 사군자 기질검사
1) 기본 개요
개발 배경: 동양의 전통적 사상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의 상징성을 심리학적으로 재해석하여 개발된 기질 검사
목적: 개인의 성격적 기질을 이해하여 자기계발·대인관계·리더십·상담 장면에서 쉽게 활용
대상: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적용 가능
2) 검사 특징
동양적 정서 반영: 한국 문화에 친숙한 사군자를 상징으로 사용
활용성: 짧은 시간에 쉽게 활용할 수 있음
실용성: 교육·상담·기업·교회 등 다양한 장면에서 쉽게 설명 및 활용 가능
3) 활용 분야
교육: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 진로 탐색
상담: 자기이해, 대인관계 문제 해결, 가족·부부 상담
기업/조직: 팀워크, 리더십 개발, 갈등 관리
코칭/리더십: 개인의 강점 발휘 및 약점 보완 전략 마련
4) 장점
이해와 설명이 쉽고 직관적
문화적 친숙성 → 공감대 형성용이
자기성찰 및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
14. 사회성 발달검사(Social Maturity / Social Development Test)
1) 기본 개요
목적: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자립 능력, 대인관계 기술, 일상생활 적응력을 평가
활용: 발달 지연,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정서·행동 문제 아동 평가
형식: 부모(혹은 교사) 보고형 / 일부 자기보고 가능
2) 검사 해석
SQ (사회성 지수): IQ와 유사한 지표
100 ± 15를 평균 범위로 해석
70 이하: 사회성 발달 지체 가능성
발달연령과 사회연령의 격차를 통해 적응 수준과 지도 방향 제시
3) 활용 분야
임상: 발달장애, 지적장애, 자폐아동의 사회적 적응 평가
교육: 특수교육 대상자 선별, 개별화 교육계획 수립
상담: 아동의 대인관계·사회적 기술 부족 원인 파악
연구: 발달심리, 아동청소년 사회성 관련 연구
4) 장점
아동의 실제 생활 행동을 기반으로 평가 → 현실 적합성 높음
지능검사와 함께 실시하면 발달 전체를 종합적으로 이해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