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가족상담
👨👩👧👦 가족상담 진행 절차 안내
가족이 함께 회복되는 시간, 건강한 관계를 위한 첫걸음
가족 간의 갈등, 정서적 고립, 세대 간의 단절을
전문가와 함께 공감과 소통의 과정으로 전환해갑니다.
1. 초기상담 (100분)
가족 문제의 본질을 함께 마주하는 시작
-
가족 구성원이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참여
-
갈등의 배경과 구조를 탐색하고 상담의 방향을 설정합니다.
2. 심리검사
가족의 정서 및 관계 특성에 대한 객관적 이해
-
가족 구성원별 심리 상태 및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
-
진단을 통한 맞춤형 상담 방향 수립
3. 해석상담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갈등 원인과 역동 이해
-
가족 내 상호작용의 특성과 갈등 요인 분석
-
상담 목표와 개입 전략을 구체화합니다.
4. 가족상담 (회기당 100분)
관계를 회복하고 소통을 회복하는 실제 상담 과정
-
가족 맞춤형 상담 진행
-
감정표현, 경계 설정, 역할 조정 등 실질적 변화 유도
5. 상담 종결 및 추후관리
변화를 이어가는 마무리와 지속적 지원
-
상담 목표가 달성되면 종결
-
필요 시 추수상담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가족 기능 유지 지원
💬 가족상담 주요 영역
🌿 정서 문제
-
질병 및 우울: 장기 돌봄, 정서적 소진
-
돌봄 스트레스: 간병자의 피로와 정체감 상실
-
사별과 애도: 상실 후 슬픔과 공허함
-
종교 갈등: 신앙·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충돌
-
가정폭력의 상처: 반복적 폭력 경험과 자존감 저하
🏡 가족구성 문제
-
재혼가정의 자녀 문제
-
다문화가정의 문화 및 세대차이
-
한부모·조손가정의 양육 부담
-
범죄자 가족의 심리적 고립감
-
입양가정의 관계 형성 어려움
🧠 인지 및 행동 문제
-
섭식장애: 거식, 폭식, 신체 이미지 왜곡
-
중독 문제: 술, 약물, 게임, 성 등 반복 행동
-
저장강박 및 편집 사고: 물건 집착, 과도한 의심
-
치매 증상: 인지 저하로 인한 가족 내 혼란
-
암 및 수술 후 심리 회복: 치료 이후의 불안, 무력감
👥 가족 관계 갈등
-
부모-자녀 갈등: 세대 간 불통, 기대의 충돌
-
형제·자매 갈등: 경쟁, 상처의 장기화
-
황혼이혼 / 졸혼 고민: 장기 결혼 후의 거리감
-
황혼양육의 부담: 조부모의 양육 피로
-
전 배우자와의 관계: 감정·자녀·재정 문제 지속
📌 가족은 가장 가까운 울타리이자, 때론 가장 어려운 관계입니다.
전문가와 함께 건강한 경계와 소통을 회복하고,
서로의 마음에 닿는 새로운 가족 문화를 만들어가세요.

